맨위로가기

폴 리쾨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 리쾨르는 프랑스의 철학자로, 현상학과 해석학을 융합한 '해석학적 현상학'을 발전시켰다. 그는 1913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포로 생활을 겪었으며,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소르본 대학교, 낭테르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이후 미국 시카고 대학교에서 강의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다양한 저작을 통해 철학, 윤리학, 언어 철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깊이 있는 사상을 제시했다. 주요 저서로는 《시간과 서사》, 《타자로서의 자기 자신》 등이 있으며, 2005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현상학 - 철학에의 기여
    마르틴 하이데거의 《철학에의 기여》는 그의 사상을 존재의 실존 분석에서 존재의 본질적 흔들림으로 전환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형이상학을 넘어 존재의 진리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는 "다른 시작"을 모색하는 책이다.
  • 현상학 - 존재와 시간
    마르틴 하이데거가 1927년에 발표한 《존재와 시간》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문화의 위기 속에서 기존 형이상학적 전통을 해체하고 세계-내-존재인 현존재의 실존적 분석을 통해 존재 의미를 탐구하며 시간성을 존재 이해의 근본으로 강조한 철학 저서로, 실존주의, 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 등 현대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개신교도 - 앙드레 지드
    앙드레 지드는 20세기 프랑스를 대표하는 작가이자 평론가로,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며 실존주의 문학에 영향을 미쳤고,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는 과정을 작품에 투영했으며, 동성애 옹호, 식민주의 비판, 소련의 실상 폭로 등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공로로 1947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프랑스의 개신교도 - 드니 파팽
    드니 파팽은 프랑스의 물리학자, 수학자, 발명가로서 압력솥의 원형인 증기 솥을 발명하고 증기 기관 개발에 기여했으며 안전밸브 발명, 공기압 동력 전달 장치와 외륜선 고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 해석학 (철학) -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마르틴 하이데거의 "형이상학 서론"은 1935년 강의를 토대로 1953년 출판된 책으로, 전(前) 소크라테스 철학자들의 사상을 재조명하고 존재와 무(無)를 탐구하며, 하이데거 사상의 전환점인 '케어레'를 보여주지만 나치즘 연관 논란과 함께 한국에서 수용과 비판이 공존하는 저서이다.
  • 해석학 (철학) - 존재와 시간
    마르틴 하이데거가 1927년에 발표한 《존재와 시간》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문화의 위기 속에서 기존 형이상학적 전통을 해체하고 세계-내-존재인 현존재의 실존적 분석을 통해 존재 의미를 탐구하며 시간성을 존재 이해의 근본으로 강조한 철학 저서로, 실존주의, 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 등 현대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폴 리쾨르
기본 정보
리쾨르, 1999년경
이름폴 리쾨르
출생 이름장 폴 귀스타브 리쾨르
출생일1913년 2월 27일
출생지발랑스, 드롬, 프랑스
사망일2005년 5월 20일
사망지샤트네말라브리, 오드센, 프랑스
배우자시몬 르자 (1935년 결혼, 1998년 사망)
학력렌 대학교 (학사, 1932년)
파리 대학교 (석사, 1934년)
소속 기관파리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학파대륙 철학
해석학적 현상학
정신분석학
기독교 신학
기독교 실존주의
철학적 관심사
주요 관심사현상학
해석학
행위 철학
윤리학
정치 철학
언어 철학
개인 정체성
이야기 정체성
역사학
문학 비평
고대 철학
주요 사상정신분석학을 주체의 해석학으로 이해, 은유 이론, "분할된 지시"를 갖는 은유 (언어에 선행하여 접근할 수 없는 것을 지시하는 측면), 구조주의 비판, 생산적인 상상력, 사회적 상상력, 철학에서의 "의심의 학교"
주목할 만한 제자프랑수아 라루엘
조르주 제나티
영향 관계
영향을 준 인물에드문트 후설
칼 야스퍼스
가브리엘 마르셀
한스게오르크 가다머
임마누엘 칸트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에마뉘엘 레비나스
로만 야콥슨
에밀 벤베니스트
에마뉘엘 무니에
영향을 받은 인물자크 데리다
엔리케 두셀
리처드 키어니
코르넬리우스 카스토리아디스
돈 이데
미셸 앙리
에마뉘엘 마크롱
케빈 반후저
기타
로마자 표기riˈkɜːr
프랑스어 발음ʁikœʁ

2. 생애

폴 리쾨르는 1913년 프랑스 발랑스의 독실한 개신교 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부모를 여의고 시에서 조부모와 숙모의 손에서 자랐다. 렌 대학교를 졸업하고 소르본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며 가브리엘 마르셀에게 철학과 신학을 배웠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1939년 프랑스 군에 입대했으나, 1년 후 독일군에 잡혀 5년간 포로 수용소 생활을 했다. 수용소에서 에드문트 후설의 저서를 번역하며 후설 연구가로 알려지게 되었다.

전후 스트라스부르 대학교를 거쳐 소르본 대학 철학교수로 재직하며 《오류를 범하는 인간》, 《악의 상징》, 《해석에 관하여: 프로이트에 대한 시론》 등 주요 저서를 출판했다. 이 시기 자크 데리다가 리쾨르의 조교로 근무했다.

1967년 낭테르 대학교 학장으로 부임했으나, 이듬해 68운동이 발생했다. 리쾨르는 학생과 당국 사이의 중재를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970년 사임했다.

이후 벨기에 루뱅 대학교시카고 대학교에서 강의와 저술 활동을 하며 《살아 있는 메타포》 등을 출간했다. 정년 퇴임 후에도 프랑스와 미국을 오가며 활동을 지속했다.

2005년 5월 20일, 프랑스 샤트네말라브리의 자택에서 92세로 생을 마감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13-1939)

폴 리쾨르는 1913년 프랑스 남동부 발랑스의 독실한 개신교 가정에서 태어났다.[9] 그의 부모는 1910년 12월 30일 리옹에서 결혼했다.[10] 리쾨르의 어머니는 그가 아주 어렸을 때 세상을 떠났고,[9] 영어 교수였던[14][15][16][17] 부친은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실종되었다.[12][13] 전쟁고아가 된 리쾨르는 브르타뉴 시로 이주하여 조부모와 숙모의 손에서 성장하고 대학을 졸업하였다.[18][19][20]

성경 공부에 대한 가족의 개신교적 강조로 학문에 대한 열정이 자극된 폴은 책을 좋아하고 지적으로 조숙했다. 그는 렌 리세(Lycée de Rennes)(현재 Lycée Émile-Zola de Rennes|렌 에밀 졸라 고등학교프랑스어)에서 리세 철학교수인 롤랑 달비에즈(Roland Dalbiez, 1893–1976) 밑에서 공부하며 철학을 발견했다.[21] 리쾨르는 1932년 렌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고,[9] 1933년부터 1934년까지 파리 대학교(소르본 대학교)에서 특히 현상학을 공부하면서 가브리엘 마르셀의 영향을 받았다.[22] 리쾨르가 파리에 있을 때, 그는 마르셀이 에드문트 후설을 소개한 금요일 모임에 참석했다.[23]

1934년 그는 프랑스 철학자 쥘 라슐리에(Jules Lachelier, 1832–1918)와 쥘 라뉴(Jules Lagneau, 1851–1894)의 일부 신학적 견해에 관한 "라슐리에와 라뉴의 신에 대한 문제"(Problème de Dieu chez Lachelier et Lagneau)[22][27]라는 제목의 DES 논문(diplôme d'études supérieures, 대략 석사 논문에 해당하는 diplôme d'études supérieures|고등 학위프랑스어)을 완성했다. 1935년 폴은 전국 철학 분야에서 두 번째로 높은 아그레가시옹 점수를 받아 밝은 미래를 예고했다.

1935년 8월 14일 렌에서 시몬 르자스(Simone Lejas, 1911년 10월 23일 – 1998년 1월 7일)[28][29]와 결혼하여 다섯 자녀를 두었다.[30][9] 1936년부터 1937년까지 그는 병역 의무를 이행했다.[22]

2. 2. 제2차 세계 대전과 포로 생활 (1939-1945)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폴 리쾨르는 1939년 프랑스 군에 입대하였다. 1년 후 독일군에 잡혀 5년간 포로 수용소 생활을 하였다. 그는 그곳에서 독일 철학을 접하게 되었고, 다른 지식인들과 협력하여 수용소 내 대학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에드문트 후설의 저서를 읽고 번역하여 후설 연구가로도 알려지게 되었다. 또한, 포로 시절 동료였던 미학자 M. 뒤프렌느와 공저로 카를 야스퍼스에 관한 연구서를 출판했다.

2. 3. 전후 학문 활동과 교수 생활 (1945-1970)

리쾨르는 1948년부터 1956년까지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에서 강의했다. 1950년 국가 박사 학위를 받았는데, 에드문트 후설의 『이데아 I』을 프랑스어로 처음 번역하고 주석을 단 것과 『의지의 철학 I: 자발적과 비자발적』을 제출한 것이었다.[31] 이를 통해 리쾨르는 현상학 전문가로 명성을 얻었다.

1956년, 리쾨르는 소르본느 대학교 일반 철학 교수직을 맡았다. 이는 리쾨르가 프랑스에서 가장 저명한 철학자 중 한 명으로 부상했음을 알리는 신호였다. 소르본느 대학교 재직 시절 그는 1960년에 출판된 『허약한 인간』과 『악의 상징론』, 그리고 1965년에 출판된 『프로이트와 철학』을 집필하여 명성을 굳혔다. 자크 데리다는 당시(1960년대 초) 리쾨르의 조교였다.[32]

1965년부터 1970년까지 리쾨르는 파리 교외에 새로 설립된 낭테르 대학교에서 행정직을 맡았다.[33] 낭테르 대학교는 진보 교육의 실험으로 계획되었고, 리쾨르는 소르본느 대학교의 답답한 분위기에서 벗어나 자신의 비전에 따라 대학을 만들 수 있기를 희망했다. 그러나 낭테르 대학교는 1968년 5월 프랑스 학생 운동 당시 시위의 중심지가 되었다. 68운동 당시 평화주의자이자 비폭력주의자였던 리쾨르는 당국과 학생들 사이의 소통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부학장의 단독 결정으로 경찰 병력이 투입되면서 상황은 리쾨르의 뜻대로 되지 않았다. 결국 리쾨르는 급진적인 학생들로부터 "늙은 광대"이자 프랑스 정부의 도구로 조롱당하고 외면당했으며,[34] 1970년, 이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임하였다.

2. 4. 미국에서의 활동과 국제적 명성 (1970-2005)

리쾨르는 프랑스 학계 생활에 환멸을 느껴 벨기에 루뱅 가톨릭 대학교에서 잠시 강의한 후, 시카고 대학교 신학대학[35] 교수직을 맡아 1970년부터 1985년까지 강의했다. 1971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36] 이 시기에 리쾨르는 미르체아 엘리아데와 교류하며 학문적 지평을 넓혔다.

1975년 『은유의 지배: 언어에서 의미 창조에 대한 다학문적 연구』(The Rule of Metaphor: Multi-Disciplinary Studies of the Creation of Meaning in Language)를 출판했고, 1983년부터 1985년까지 3권으로 구성된 『시간과 서사』(Time and Narrative)를 출판하며 연구 업적의 정점에 달했다. 1985/86년에는 기포드 강좌를 진행했고, 이 강좌는 1990년 『타자로서의 자기』(Oneself as Another)로 출판되었다. 이 저서는 그의 서사적 정체성에 대한 논의와 자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바탕으로 했다.

『시간과 서사』는 1985년 리쾨르가 저명한 지식인으로서 프랑스로 귀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후기 저작은 국가적 지적 전통의 지속적인 상호 교차를 특징으로 했는데, 예를 들어 미국 정치 철학자 존 롤스의 사상을 다룬 저술도 있다. 1995년 키이우-모힐라 국립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9년 철학 부문 발찬 상을 수상했는데, 수상 이유는 "[20세기 철학의 가장 중요한 주제와 징후들을 모두 통합하고, 시적이고 은유적인 언어를 통해 우리가 조작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고 그럼에도 모두 일관성 있는 현실을 드러내는 독창적인 종합으로 재구성한 능력]"이었다.[37] 같은 해, 시카고 대학교 대학 출판부 이사회로부터 『성서적으로 사유하기: 주해학적 및 해석학적 연구』(Thinking Biblically: Exegetical and Hermeneutical Studies)로 고든 J. 레잉 상을 수상했다. 이 책은 시카고 신학교 히브리어 성서 명예 교수 앤드레 라콕과의 공저이다.

2004년 11월 29일, 야로슬라프 펠리칸과 공동으로 두 번째 존 W. 클루게 인문학 평생 공로상을 수상했다.[38]

2. 5. 말년과 죽음 (2005)

2005년 5월 20일, 프랑스 샤트네말라브리의 자택에서 92세의 나이로 숨을 거두었다.

3. 철학 사상

리쾨르는 1950년 국가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현상학 전문가로 명성을 얻었다.[31] 소르본느 대학교 재직 시절 『허약한 인간』, 『악의 상징론』(1960), 『프로이트와 철학』(1965) 등을 집필하여 그의 명성을 더욱 굳건히 하였다.[32]

1965년부터 1970년까지 낭테르 대학교에서 행정직을 맡았으나, 1968년 5월 프랑스 학생 운동 당시 시위의 중심지가 되면서 "늙은 광대"라는 조롱을 받기도 했다.[34] 이후 루뱅 가톨릭 대학교를 거쳐 시카고 대학교 신학대학[35]에서 1985년까지 강의했다.

리쾨르는 『은유의 지배』(1975), 3권으로 구성된 『시간과 서사』(1983-1985)를 출판하고, 기포드 강좌(1985/86)를 진행하여 『타자로서의 자기』(1990)를 출판하는 등 왕성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존 롤스의 사상을 다루는 등 국가적 지적 전통의 상호 교차를 보여주는 저작들을 남겼으며,[37] 1999년 발찬 상,[37] 2004년 존 W. 클루게 인문학 평생 공로상을 받았다.[38] 그의 철학은 일본에서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

3. 1. 해석학적 현상학

리쾨르는 현상학과 해석학을 융합하여 '해석학적 현상학'을 발전시켰다. 그는 텍스트 해석뿐만 아니라 인간의 경험과 역사를 이해하는 데 해석학적 방법론을 적용했다.[41] 리쾨르는 해석학을 자아와 상징 간의 연결을 이해하는 것으로 보았으며, 사물 자체가 아니라 둘 사이의 변증법적 상호 작용을 중시했다. 그는 해석학의 목표를 해석학적 과정의 결과로서 자기 이해로 보았다.

리쾨르는 해석학적 과제가 의미 있는 방식으로 자아와 타자의 만남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자기 의미와 타자 의미에 대한 설명은 본질적으로 존재 자체에 묶여 나타난다. 따라서 리쾨르는 철학을 문화 세계에 내재된 현상(오직 그렇게만 나타날 수 있는)의 해석을 통해 존재의 의미를 밝히려는 해석학적 활동으로 묘사한다.

3. 2. 의심의 해석학과 탈비판

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니체, 지그문트 프로이트를 의심의 학교[43][44]의 거장으로 규정하고, 이들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리쾨르의 "의심의 해석학"은 문학 비평과 문화 연구에서 비판, 비판 이론, 이데올로기 비판의 방법을 넘어서는 새로운 형태의 독서와 해석을 모색하는 학술 운동인 탈비판에 큰 영향을 미쳤다. 문학 비평가 리타 펠스키는 리쾨르가 이 전통의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이며, 그의 "의심의 해석학" 분석이 "우리가 어떻게 읽고 무엇을 위해 읽는지에 대해 생각하도록 초대한다"고 평가했다.[45]

3. 3. 언어 철학과 은유

리쾨르는 언어가 가진 생산적인 상상력, 특히 은유가 지닌 힘에 주목했다. 그는 언어가 은유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고,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를 새롭게 구성하는 방식에 대해 깊이 있게 논의했다.[48][49] 그는 저서 『은유의 법칙』[46]과 『시간과 이야기』 1권[47]에서 이러한 생각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3. 4. 시간과 서사

리쾨르는 1983년, 1984년, 1985년에 걸쳐 3권으로 구성된 『시간과 서사』(Time and Narrative)를 출판했다.[36] 이 책에서 리쾨르는 시간과 서사의 관계를 탐구하며, 인간의 경험이 서사적 구조를 통해 구성되고 이해된다는 '서사적 정체성' 개념을 제시했다. 이는 역사, 문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5. 윤리학과 정의

리쾨르는 마이클 월처, 위르겐 하버마스, 마이클 샌델 등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윤리학과 정의론에 대한 논의를 전개했다.[37] 특히, '타자로서의 자기'(Oneself as Another영어)라는 개념을 통해 윤리적 주체의 형성과 타자와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했다.[36]

4. 주요 저작


  • 《Philosophie de la volonté프랑스어》(의지의 철학), 제1권, 1950년, 제2권, 1960년.
  • 《Le volontaire et l'involontaire프랑스어》(의지적인 것과 비의지적인 것), 1949년.
  • 《Finitude et culpabilité프랑스어》(유한성과 죄악가능성), 1960년.
  • 《De l'interpré tation프랑스어》(해석에 관하여), 1965년.
  • 《La métaphore vive프랑스어》(살아있는 메타포), 1975년.
  • 《Temps et ré cit프랑스어》(시간과 이야기) 1, 2, 3, 1983년 ~ 1985년.
  • 《Soimême comme un autre프랑스어》(타자로서의 자기 자신), 1990년.
  • 《Lecture프랑스어》(강좌), 1992년.
  • 《La critique et la convicition: Entretien avec François Azouvi et Marc de Launay프랑스어》(비판과 확신: 프랑스아 아주비와 마르크드 로네와의 인터뷰), 1995년. - 국내 번역판: 폴 리쾨르, 《비판과 확신》, 변광배•전종윤 옮김, 그린비출판사
  • 《La mémoire, l'histoire, l'oubli프랑스어》(기억, 역사, 망각), 2002년.

5. 수상 및 영예


  • 1985년: 헤겔상 수상
  • 1989년: 야스퍼스상 수상
  • 1999년: 발찬상 수상
  • 2000년: 교토상 사상·예술 부문 수상
  • 2004년: 클루게상 수상

참조

[1] 서적 Knowledge and Practical Reason: Paul Ricoeur's Way of Thinking LIT Verlag Münster
[2] 서적 Hermeneutic Phenomenology: The Philosophy of Paul Ricoeur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Rule of Metaphor: The Creation of Meaning in Language Routledge
[4] 서적 Metaphor and Art: Interactionism and Reference in the Verbal and Nonverbal Arts CUP Archive
[5] 논문 L'imagination dans le disocurs et dans l'action Seuil
[6] 논문 Le parcours du sens : Ricœur et Benvenist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Semiotic Studies
[7] 논문 The Contributions of Gabriel Marcel and Emmanuel Mounier to the Philosophy of Paul Ricoeur University of Calgary
[8] 웹사이트 Paul Ricœur https://web.archive.[...] Inamori Foundation 2012-12-15
[9] 백과사전 Paul Ricoeur http://biography.you[...] Encyclopedia of World Biography: 20th century supplement
[10] 웹사이트 Pages de données https://web.archive.[...] 2017-04-24
[11] 웹사이트 Paul Ricœur : "Je ne suis pas un philosophe protestant" https://www.radiofra[...] Radio France 2016-01-13
[12] 서적 La critique et la conviction: entretien avec François Azouvi et Marc de Launay Calmann-Lévy
[13] 웹사이트 On an impact of WWI https://craftinghist[...] 2022-07-17
[14] 전기 Jules Paul Ricoeur (1887-1918)
[15] 웹사이트 La Guerre et le lycée Loubet (The War and Lycée Loubet) http://hgec2638.fr/l[...]
[16] 웹사이트 MémorialGenWeb Fiche individuelle http://memorialgenwe[...]
[17] 웹사이트 MémorialGenWeb – Ricoeur, Louis Charles Adrien (1889–1914) https://web.archive.[...] 2017-04-26
[18] 웹사이트 Pages de données https://web.archive.[...] 2017-04-24
[19] 서적 La critique et la conviction: entretien avec François Azouvi et Marc de Launay Calmann-Lévy
[20] 웹사이트 Recognition, Reciprocity and Representation: Background presentation to a discussion of 3 Ricoeur texts https://www.academia[...]
[21] 서적 Knowledge and Practical Reason: Paul Ricoeur's Way of Thinking LIT Verlag Münster
[22] 서적 Paul Ricœur. Anthologie Éditions Points
[23] 웹사이트 Paul Ricoeur https://www.loc.gov/[...]
[24] 웹사이트 Biography of Paul Ricoeur https://fondsricoeur[...]
[25] 웹사이트 Dalla fenomenologia l'ermeneutica: così Ricoeur sposò la causa esistenziale https://www.avvenire[...] L'Avvenire
[26] 웹사이트 Paul Ricoeur (1913-2005) https://museeprotest[...]
[27] 서적 Twentieth-Century French Philosophy: Key Themes And Thinkers Blackwell Publishing
[28] 웹사이트 Pages de données https://web.archive.[...] 2017-04-24
[29] 웹사이트 Paul Ricoeur, un philosophe protestant http://www.reveil-fm[...]
[30] 서적 Paul Ricoeur: His Life and His Work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1] 서적 Philosophie de la Volonté II: L'homme faillible et La symbolique du mal (Philosophy of the Will II: Fallible Man and The Symbolism of Evil)
[32] 서적 Jacques Derrid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R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4-19
[37] 웹사이트 Paul Ricoeur – Balzan Prize Philosophy https://www.balzan.o[...]
[38] 뉴스 Library of Congress Announces Winners of John W. Kluge Prize for Lifetime Achievement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ttps://www.loc.gov/[...] 2017-02-15
[39] 웹사이트 University of Chicago News https://news.uchicag[...] 2022-07-17
[40] 뉴스 Obituary: Paul Ricoeur https://www.theguard[...] 2005-05-23
[41] 서적 The Philosophy of Paul Ricœur: An Anthology of His Work Beacon Press
[42] 서적 The Sacred and the Profane: The Nature of Religion Harcourt Brace Jovanovich, Inc.
[43] 서적 Freud and philosophy: an essay on interpretation (Not specified)
[44] 서적 Nietzsche's Corpse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45] 서적 The Limits of Critiqu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6] 서적 The Rule of Metaphor: Multi-Disciplinary Studies of the Creation of Meaning in Language Routledge and Kegan Paul
[47] 서적 Time and Narrativ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8] 웹사이트 Paul Ricoeur http://plato.stanfor[...]
[49] 웹사이트 Paul Ricoeur, philosophe de tous les dialogues http://www.lemonde.f[...] 2017-05-17
[50] 서적 폴 리쾨르, 비판과 확신 그린비 출판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